https://guide.ncloud-docs.com/docs/clovaocr-example01
사진에서 일본어 단어를 추출하려고 하는데 구글을 써보니 어느정도 한계를 느껴서 네이버를 사용해보려고 한다.
구글을 썼을댄 짚피티 센세가 친절히 알려주셨지만 네이버는 쉽지 않았다.
덕분에 공식문서를 꼼꼼하게 살펴보느라 눈과 머리가 터져 버릴 것만 같다. 점심 나가서 먹을거 같애
특히 API주소 받는 부분과
POSTMAN 파트가 골머리를 썩혔는데
도데체 POSTMAN이 무엇인지 어디서 찾아볼수 있는건지 알 수가 없었다. 네이버 공식사이트를 샅샅이 찾아보아도 나오질 않았다.
그럴수 밖에. 별도의 프로그램이니🤬🤬🤬🤬🤬🤬🤬🤬🤬🤬🤬🤬🤬🤬🤬🤬🤬🤬🤬🤬🤬🤬🤬🤬🤬🤬🤬🤬🤬🤬🤬🤬🤬🤬🤬🤬🤬🤬🤬🤬
이것도 지피티 센세에게 물어보고서야 알았다. 블로그에도 이 POSTMAN을 기본으로 설치해둔 상황을 상정하고 쓴글이었기에 지피티 센세가 아니었다면 평생 뺑뻉이 돌았을거야
쨌든 POSTMAN 프로그램을 설치한후에도 문제는 사용법을 전혀 모르니 화딱지가 잔뜩났다.
도저히 다음 단계로 나아갈 페이지가 보이질 않았는데 다음과 같은 파란색 동그라미를 눌러야 하는 것이었다. ㅂㄷㅂㄷ
.
.
.
.
이후에 별의별 뻘짓을 다해보아도 결과값을 얻는 건 불가능했다.
지피티나 블로그 등등을 통해 얻은 소스코드로는 도저히 API활용이 불가능했다.
그러다 공식문서의 파이썬 예제를 가져다 쓰니 바로 떴다.
난 그동안 무슨 수고를 했던것인가.
그렇게 테스트 이미지를 가지고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데모에서 보다 결과값의 퀄리티가 떨어진다.
왜 그럴까 돈을 내라는건가.
지금 데모버전에서 테스트를 다시 해보니 API의 인식언어 설정을 한국어와 일본어로 설정하고 만드는데 한국어로 설정하고 이미지를 주면 한국어와 일본어 모두 인식이 잘 되었는데
일본어로 다시설정하고 만드니 한국어를 엉뚱한 일본어로 인식한다던가 엉망이다. 네이버 완전 엉터리다. 내가 못쓰는건가
공식문서를 뒤져봐도 내용이 풍족하지도 않은것 같고 못 써먹겠다 진짜